[메디컬투데이 임우진 기자]
비(非)정규직 근로자는 정규직에 비해 비만해도 자신의 다이어트를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절반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주당 근로시간이 짧을수록 다이어트 시도율이 낮았다.
안동대 간호학과 김윤영 교수팀에 따르면 2011년 3차 한국근로환경조사에 참여한 15세 이상 비만 근로자 484명의 다이어트 시도율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연구결과 전체 비만 근로자의 다이어트 시도율은 63.4%였다. 3명 중 2명은 체중 조절을 위해 시간을 할애한다는 의미다. 비만 근로자의 다이어트 시도율에 있어선 남녀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남 63.2%, 여 63.9%). 연령별론 50대의 다이어트 시도율이 70.2%로 최고, 60세 이상이 55.0%로 최저를 기록했다.
비만 근로자의 소득ㆍ학력이 높을수록 담배를 피우지 않을수록 자신이 평가하는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다이어트 시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주당 근무시간이 40∼49시간인 비만 근로자의 다이어트 시도율은 70.9%였다. 반면 주 근무시간이 60시간 이상이거나 40시간 미만인 근로자의 다이어트 시도율은 각각 47.7%ㆍ60.0%에 그쳤다.
연령ㆍ성 등 다양한 요인을 모두 고려해 보정한 결과 비만 정규직 근로자는 비정규직 근로자에 비해 자신의 다이어트를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2.2배 높았다. 주(週) 40∼49시간 일하는 근로자는 주 근로시간이 60시간 이상인 근로자에 비해 체중 조절을 위해 노력할 가능성이 2.4배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한국 노동자의 근로시간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35개 회원국 중에서 3번째로 길다”며 “과체중 또는 비만 근로자가 시간외 근무를 오래 하면 비만 관리 등에 투입할 시간이 극도로 제한된다”고 지적했다.
과다한 근무시간은 운동 등 신체 활동을 줄여 근로자의 다이어트 전략의 걸림돌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긴 잔업시간은 가족과의 저녁 식사를 힘들게 할 뿐 아니라 칼로리 밀도가 높은 패스트푸드나 편의식품을 주로 선택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 오히려 체중 증가를 부추긴다.
한편, 이 연구결과(한국의 비만 근로자에서 작업 환경과 체중 조절 노력의 상관관계)는 국제 학술지인 ‘국제의학연구저널’(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 최근호에 소개됐다.
메디컬투데이 임우진 기자(woojin1803@mdtoday.co.kr)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 男, 방광암 위험 1.6배 더 높다 (0) | 2018.04.25 |
---|---|
지방흡입…운동 욕구 자극하는 ‘핏스피레이션’ 대열 합류 (0) | 2018.04.24 |
소변에 나트륨 배출량 많으면 비만 위험 7배 (0) | 2018.04.11 |
살 찌면 오히려 심장 질환 위험 낮다고? (0) | 2018.04.09 |
당뇨병 예방하려면 체질량지수 줄여야…비만인 경우 9% 감소 필요 (0) | 2018.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