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
간염 등 만성 간질환을 오래 앓으면 간이 굳어가는 간경변으로 발전할 수 있다. 한번 굳어진 간은 회복이 어렵고, 간경변은 또 간암으로 진행할 수 있어 만성 간질환 환자의 경우 초기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정기적 검진을 통해 간경변·간암으로 발전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 답이다.
최근 도입된 ‘간 탄성도 검사’는 통증과 출혈 없이 간 섬유화 진행단계 확인이 가능해 간경변 예방에 효과적으로 환자의 만족도가 높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최근 5년간(2012~2016년) 자료에 따르면 간경변 환자는 남성이 여성보다 1.7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연령별 분포를 보면 20대 0.5%, 30대, 4.2%, 40대 19.1%, 50대 36.7%, 60대 25.1%로 50~60대가 가장 많지만, 40대부터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자 5명 중 1명은 40대로 분석됐다.
강동경희대병원 신현필 소화기내과 교수는 “간경변은 바이러스성 또는 알콜성 간질환이 오래되고 특히 효과적인 치료가 되지 않는 경우 발생한다”며 “남성 환자가 많은 이유는 간염 바이러스 감염률, 알콜성 간질환 비중이 높은 영향 등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 “20~30대 간질환 환자가 40대에 이르러 간경변으로 진단받는 경우가 많아 젊다고 안심하기보다는 정기적으로 간 검사를 챙길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간경변 초기 증상인 간 섬유화는 초기에 발견해야 관리가 가능하다. 하지만 초기에는 혈액이나 초음파검사로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조직검사를 해야 했다. 조직검사 시 주사바늘을 직접 간에 찔러 조직을 얻어내기 때문에 검사에 대한 환자의 불안감이 크고, 검사 후 통증· 출혈 등의 불편감이나 합병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현재는 간 탄성도 검사가 도입돼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간 탄성도 검사는 간이 굳어가면서 간의 탄성도가 달라지는 점을 이용한다. 초음파 파동이 간 조직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다.
초기 간 섬유화 진행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간경변, 간암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조직검사와 달리 비침습적 방식으로 진행돼 출혈·통증에 대한 걱정도 없다고 전문의들은 말한다.
간 섬유화는 주로 B형, C형 등 바이러스성 간염이나 알콜성 간질환을 앓는 환자에서 진행된다. 섬유화가 진행되면 결국 간경변이 되는데 간경변에서 간암 발생도 증가하게 된다. 간경변으로 이미 굳어진 간은 건강한 간으로의 회복은 어렵다. 따라서 병의 진행 및 간기능의 저하를 최대한 늦추는 것을 치료목표로 한다.
간 섬유화 진행 초기에는 그 원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처방하거나, 알콜성의 경우 금주 등을 통해 더 이상의 악화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관리 시기를 놓쳐 간경변이 진행되면 합병증으로 인해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혼수 등이 올 수 있어 정기적인 간 검사를 통해 악화 전에 관리하는 것만이 최선이다.
신현필 교수는 “모든 검사가 그렇듯 간 탄성도 검사에도 분명한 한계점이 있어 이것만으로 간질환의 정도를 평가하지는 않는다”며 “혈액, 초음파 검사와 함께 간 탄성도 검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간 섬유화 정도 및 간경변 여부를 판단해 환자 개개인에 맞는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라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김동주 기자(ed30109@mdtoday.co.kr)
'여성·유아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으로 잃은 가슴…‘유방재건술’ 괜찮을까? (0) | 2017.07.03 |
---|---|
여성들의 밑 빠지는 병, 나이 많다고 치료 포기마세요 (0) | 2017.06.29 |
수면장애 초래하는 코골이 女, 골절 위험율 높다 (0) | 2017.06.29 |
[낙태는 왜 논란이 됐나①] 수면 위 떠오른 낙태 논란 (0) | 2017.06.28 |
‘모유수유 다이어트’ 시도하는 엄마들 (0) | 2017.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