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골격계·신경계 질환

노인들에게 더 치명적인 골다공증…골절 방지 진료지침 발표

pulmaemi 2017. 1. 17. 13:11
골다공증 치료 보험 급여 등 구성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의 진료지침 (사진=대한골다공증학회 제공)


[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부러지는 골다공증성 골절은 추가 골절 발생, 심각한 장애 초래를 비롯해 사망까지 이르게 할 수 있는 심각한 질병이다. 

대한골다공증학회는 노인들에게 더 치명적인 골다공증으로 인해 골절을 경험한 골다공증 환자의 진료지침을 16일 발표했다. 

초고령화 사회에 골다공증 관련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 개발된 진료지침은 골다공증의 궁극적 치료 목적 중 하나인 골절 방지에 초점을 맞춘 첫 국내 진료지침이다.

진료지침은 ▲골다공증의 정의 및 진단 ▲골다공증의 생활관리 ▲골감소증의 관리 ▲골다공증의 약물치료 ▲골다공증성 골절의 수술적 치료 ▲골다공증 치료의 보험 급여 등으로 구성됐으며,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 환자들의 생활 관리 ▲골감소증과 골절의 관계와 대책 ▲약물 및 수술 치료와 세부 적용기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2016년 12월부터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된 부갑상선호르몬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비스포스포네이트 등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 혹은 중증 골다공증 환자에 골절 감소 효과를 입증한 약물의 세부 내용과 건강보험 급여 적용 기준 등이 소개됐다. 

대한골다공증학회 박예수 회장은 “이번 진료지침 개발은 50세 이상 여성 10명 중 3명이 경험하는 골다공증성 골절을 예방하고 환자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는 학회의 노력에서 시작됐다”며 “본 진료지침이 진료 현장에서 환자들을 마주하는 의료진들이 더욱 질 높은 진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대한골다공증학회의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의 진료지침’에 대한 내용은 학회 홈페이지(http://www.koreanosteoporosis.or.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춘계 연수강좌에서 참석자들에게 무료 배포될 예정이다.…    
메디컬투데이 김혜인 기자(hyein@md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