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계 질환

활성 산소, 호흡기 바이러스로부터 인체 면역력 강화

pulmaemi 2015. 6. 23. 16:42

항바이러스 약제 및 점막 면역 백신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 제시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신종플루,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등 호흡기 바이러스가 우리 몸을 침투할 때 항바이러스 면역반응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새롭게 밝혀졌다.

특히 피로 물질로 알려진 ‘활성 산소’가 면역반응의 핵심 물질인 ‘인터페론’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치료와 예방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의과대학 이비인후과학교실 김현직 교수팀이 호흡기 바이러스가 우리 몸을 침투할 때 호흡기 점막에서 활성 산소가 증가하는데 이것이 인터페론의 분비를 증가시켜, 면역력을 높이고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할 수 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한 사람에서 채취한 호흡기 점막 세포를 배양한 후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를 감염 시켰다. 그 후 실험군 세포에는 항산화제로 활성 산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대조군 세포에서는 그대로 뒀다. 

▲김현직 교수(사진=서울대병원 제공)

두 군에서 인터페론의 분비량과 인터페론 유도성 유전자(Mx1, 2,5-OAS1, IFIT1, CXCL10)의 발현 정도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호흡기 점막 인터페론 중 인터페론 람다의 분비가 현저히 감소했고 바이러스의 사멸에 관여하는 인터페론 유도성 유전자의 발현이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이로 인해 실험군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 더 심해지는 것이 관찰됐다.

즉 호흡기 점막 세포에 활성 산소를 억제했더니 선천성 면역체계의 핵심 물질인 인터페론의 분비가 줄어들면서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이 악화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Duox2’ 라는 물질이 호흡기 점막에서 활성 산소 생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호흡기 점막에 침투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인터페론 람다의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으로 나뉜다. 선천성 면역체계는 바이러스를 포함한 외부 병원균들과 직접 접촉하는 비강을 포함해 호흡기, 소화기, 생식기 등의 점막에서 작동한다.  

그 중 호흡기 점막에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그것을 인식하고 저항하기 위한 면역체계가 활성화되는데 이런 점막의 선천성 면역체계를 조절하는 핵심물질이 인터페론이다. 특히 호흡기 점막에서는 인터페론 람다가 항바이러스 면역기전의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김현직 교수는 “아직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번 연구가 항바이러스 약제 및 점막 면역 백신 개발에 도움이 돼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환자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희망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국 호흡기 학회 연구지인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Cell and Molecular biology 5월호 인터넷 판과 바이러스 관련 연구지인 Antiviral Research 7월호에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강연욱 기자(dusdnr1663@mdtoday.co.kr)